뇌에서 불안감 비워라

by admin posted Mar 17,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브레노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딜레마랜드 - 교육자료실 [뇌에서 불안감 비워라]

뇌에서 불안감 비워라

미 시카고대의 심리학자인 시안 베일록(Beilock) 교수는 20명의 대학생에게 두 차례 간단한 수학 시험을 치르게 했다. 1차 시험 때는 별다른 부담 없이 최선을 다하라고만 했다. 2차 시험에선 먼저 두 그룹으로 나누고 두 그룹 모두에게 시험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도록 만들었다. 즉 성적이 좋은 그룹에는 상금이 있으며, 개인의 성적이 해당 그룹의 전체 평점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아울러 시험 과정은 영상으로 기록되며 수학 교수가 나중에 꼼꼼히 답안지를 채점할 것이라고 했다. 그런 뒤 한 그룹에겐 시험 직전 10분간 조용히 앉아 있게 하고, 다른 한 그룹은 10분간 시험에 대한 부담감이나 불안감을 글로 적게 했다.

결과는 확연히 달랐다. 시험 직전 가만히 앉아 있었던 그룹은 2차 시험 성적이 1차에 비해 12%나 떨어졌다. 극심한 부담감이 시험을 망친 것이다. 그런데 10분간 불안감을 글로 썼던 그룹은 오히려 1차에 비해 성적이 5% 높아졌다.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시험 직전 10분간 불안감을 글로 쓴 그룹은 평균 성적이 'B+'였지만, 시험과 상관없는 내용을 쓴 그룹은 'B-'를 기록했다.

베일록 교수는 올 초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뇌의 '작업 기억(working memory)'에서 불안감을 없앤 것이 점수가 다르게 나온 이유"라고 밝혔다. 이마 쪽 전두엽에서 담당하는 작업 기억은 정신적 작업을 위해 필요한 일종의 메모지 역할을 한다. 수학 문제를 풀려면 문제를 쓰고 여러 단계를 계산해야 한다. 작업 기억은 이런 과정을 처리해 최종 답을 이끌어낸다.

하지만 작업 기억의 용량에는 한계가 있다. 뇌 영상에서 시험 직전에 초조함과 불안을 느끼는 학생은 작업 기억 영역이 벌써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상태에서 시험을 치르면 컴퓨터 메모리가 꽉 찬 상태에서 프로그램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것처럼 작업 기억이 제대로 작동을 하지 못해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없다.

이와 달리 시험 직전 불안감을 글로 쓰면 작업 기억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실제로 10분간 불안감을 글로 쓴 학생의 뇌는 평소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정관념 버려도 성적 올라

극심한 부담감으로 실수하는 것은 학생들만이 아니다. 최상위급 프로 골프 선수들도 홀까지 1m도 채 남지 않은 퍼팅을 놓치는 경우가 있다. 회사에서 잘나가는 직장인도 중요한 발표에서 실수를 한다. 베일록 교수는 "너무 잘하려고 하면 오히려 실수를 한다"며 "프로 골프 선수에게 퍼팅에 대해 생각하지 말고 노래를 부르게 했더니 실수가 눈에 띄게 줄었다"고 말했다.

고정관념도 일종의 심리적 부담감이다. 이를테면 '흑인은 백인보다 지적 능력이 떨어진다'나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수학을 못한다'는 식이다. 이 역시 부담감을 떨쳐 내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심리학자들은 말한다.

한 예로 미국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당선되기 전과 당선 후 흑인과 백인 학생의 성적 비교 연구를 들 수 있다. 오바마 당선 전엔 통념대로 흑인 학생들의 성적이 백인 학생들보다 낮았다. 하지만 오바마 당선 후 흑인 학생들의 성적이 크게 올라 백인 학생들과 비슷한 수준이 됐다고 한다. 베일록 교수는 "흑인이 대통령도 될 수 있다는 것을 보고 흑인이 백인보다 지적능력이 떨어진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면서 성적이 오른 것"이라고 설명했다.